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2023 롤드컵 본선부터 적용된 스위스 스테이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뀐 스위스 스테이지에서는 예전 롤드컵 본선 진행 방식과는 달리 마지막까지 경기 결과를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모든 경기가 중요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스위스 스테이지 뜻
롤드컵에서 사용되는 스위스 스테이지는 체스 토너먼트에서 사용되는 '스위스 시스템'을 뜻하는 경기 진행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서 '같은 전적끼리 붙는'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위스 스테이지(스위스 시스템)은 비슷한 실력을 가진 상대와 매 라운드마다 치열하고 공정한 경쟁을 촉진할 수 있고, 같은 성적을 가진 팀끼리 격돌하기 때문에 경기를 보는 시청자의 입장에서도 긴장감과 재미를 더 할 수 있습니다.
스위스 스테이지 - 진행 방식 (롤드컵)
- 총 16개의 팀이 참여
- 16개 팀 중, 8팀이 녹아웃 스테이지로 진출
(녹아웃 스테이지 = 토너먼트, 5판 3선승제) - 총 5라운드로 진행
- 매 라운드마다 '같은' 성적을 가진 팀끼리 대전
(라운드가 끝난 직후 다음 라운드 대진 추첨) - 라운드 3승을 달성하면 반드시 진출, 3패를 달성하면 반드시 탈락
- 기본적으로 단판승제(1판)로 진행하지만,
- 탈락 or 진출을 결정짓는 라운드에서는 3판 2선승제(Bo3)로 진행
- 상위 POOL 팀에게 진영 선택권 부여
- 같은 POOL 팀 간 대전 성사 시, 먼저 추첨된 팀에 진영 선택권 부여
- 1라운드에서는 동일 리그 내전 성사 불가능
- 2라운드부터 동일 리그 내전 성사 가능, 재대결 가능 (제한 없음)
1라운드
- 16개의 팀이 격돌하여 1승한 팀 8개, 1패한 팀 8개가 결정
- 1라운드의 경기 모두, 단판승제(Bo1)로 진행된다 (1경기)
- 2라운드에서 추첨을 통해 동일한 기록을 가진 팀끼리 다시 붙게 된다
2라운드
- 2라운드에서도, 모든 경기가 단판승제(Bo1)로 진행된다 (1경기)
- 여기서 2승을 한 4개의 팀, 1승1패를 한 8개의 팀, 2패를 한 4개의 팀이 결정된다.
(3라운드에서, 추첨을 통해 같은 성적을 기록한 팀끼리 다시 붙게 된다)
3라운드
- 3라운드부터 진출 or 탈락이 걸린 매치(2승 or 2패)는 3판2선승제(Bo3)로 진행
- 나머지 1승1패를 달성한 8개의 팀은 단판승제(1판)로 진행
- 2승을 달성한 4개의 팀 중, 승리한 2개의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 (3-0)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할 수 있는 8개 팀 중 2개의 팀 확정) - 2패를 달성한 4개의 팀 중, 패배한 2개의 팀이 대회 탈락 (0-3)
4라운드
4라운드에서는 2승1패를 기록한 6개의 팀과 1승 2패를 기록한 6개의 팀이 각각 경기를 치른다.
- 2승 1패를 한 6팀끼리 3판 2선승제(Bo3)로 진행
→ 승리한 3개의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 (3-1)
→ 패배한 3개의 팀이 마지막 5라운드에서 다시 대결 (2-2) - 1승 2패 팀끼리 3판 2선승제(Bo3)로 진행
→ 승리한 3개의 팀이 마지막 5라운드에서 다시 대결 (2-2)
→ 패배한 3개의 팀이 대회 탈락 (1-3)
5라운드
5라운드에서는 2승2패를 기록한 6개의 팀이 남은 3개의 진출권을 따내기 위해 대전한다.
- 3판 2선승제(Bo3)로 진행
- 승리한 3개의 팀은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 (3-2)
- 패배한 3개의 팀은 대회 탈락 (2-3)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